예전부터 한 번 따볼까 생각만 했던 SQLD 시험을 봤었습니다.
3월 9일 52회 차를 치렀었고, 높은 점수는 아니지만 다행히 합격을 했습니다.
총 7일 동안 공부하였는데, 다른 분들께 도움이 되었으면 좋을 것 같아 어떻게 준비했는지 공유해보려 합니다.
목표 설정
우선, 공부에 앞서 현 상황과 어떻게 공부할 것인지, 어떻게 하고 싶은지 생각해 본 결과
- 공부에 너무 많은 시간을 투자하고 싶지 않다.
- 고득점이 목표가 아니다. 합격점이 목표다.
- sql, 오라클에 대한 어느 정도의 사전 지식이 있다.
이 정도의 결론이 나왔습니다.
그래서, 저는 7일이면 충분히 합격할 수 있겠다 생각하였습니다.
정보 탐색 및 교재 구매
그다음 사람들은 어떤 식으로 공부하는지 궁금해 구글링을 해 봤습니다.
많은 분들이 sqld 독학에 대한 좋은 정보를 제공해 주셔서 공부하는 데에 도움이 되었습니다.
그중에서 저는 아래의 블로그를 가장 많이 참조해 교재 및 커뮤니티 등에 대한 정보를 얻었습니다.
https://soo-vely-dev.tistory.com/227
SQLD 2주 합격 후기 및 공부 방법(직장인/노랭이/독학)
회사에서 오라클을 깊게 다루다보니, '이 참에 SQL 자격증을 취득해볼까?' 라는 생각이 문뜩 들어 SQLD 공부를 시작하였고, 제 47회 SQLD 시험을 합격하였습니다! SQLD란? SQL 개발자(SQLD*, SQL Developer)란
soo-vely-dev.tistory.com
그리고 네이버 sqld 커뮤니티 카페에도 가입했습니다.
https://cafe.naver.com/sqlpd/13374
[국가공인] SQL 개발자(SQLD) 가이드(2020.08.25.)
요약자료(4개) 링크를 추가했습니다. (2020.08.25.) 정리된 SQL 개발자 가이드로 시험을 대비할 수 있도록 자료실 교재 및 기출문제 복원자료를 취합하였습니다. ...
cafe.naver.com
그리고 교재를 선택해야 했었는데, 많은 사람들이 추천했던 "SQLD 자격검정 실전문제(통칭 노랭이)"를 구매했습니다.
SQLD 시험을 주최하는 한국 데이터 산업 진흥원에서 공식 출간한 책인데, 개정판이 나와서 그걸 샀습니다.
실제로, 시험 응시할 때, 책에 나와있던 기출문제와 같거나 변형된 문제가 몇몇 보였습니다.
해당 교재는 문제만 있기 때문에, 만약 sql에 대한 사전 지식이 없으시다면 개념서를 같이 구매하시는 것도 추천드립니다.
다만 답안을 잘못 표기한 문제가 꽤 있고, 해설이 불친절하기 짝이 없어 내면의 분노가 치솟았습니다. 잘못된 답안은 정오표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문제 풀기 및 복습
SQLD는 "제2장 SQL 활용"까지만 공부하시면 됩니다.
첫날은 모든 문제를 푸는 것을 목표로 삼았습니다.
문제를 풀어보면서, 내가 아는 부분과 모르는 부분이 무엇인지, 출제 방식은 어떻게 되는지 등을 파악했습니다.
(저는 7시간 정도 걸렸습니다.)
저의 경우 메모장에 답을 적고 채점한 다음에, 틀린 문제만 책에 체크를 해 뒀습니다.
다음 날은 오답을 확인하고, 보완해야 하는 부분은 무엇인지 확인했습니다.
가장 큰 문제는 1 단원에 나오는 소위 "아 다르고 어 다르다." 하는 문제들과, 2 단원에 나오는 장문의 쿼리였습니다.
1 단원은 과락을 피하기 위해 암기가 필요한데, 기본적인 부분은 아래의 블로그를 참조하였습니다.
https://mjn5027.tistory.com/100#3.%20%EC%86%8D%EC%84%B1
[ SQLD ] 1장 - 데이터 모델링의 이해 요약
데이터 모델링의 이해 요약 1. 데이터 모델의 이해 > 데이터 모델링 정의 - 현실 세계의 데이터를 데이터 관점으로 업무 분석하는 기법 -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기 위한 분석 및 설계의 과정 > 데
mjn5027.tistory.com
그리고 정규화에 대한 부분은 아래의 블로그를 참조하였습니다.
https://mangkyu.tistory.com/110
[Database] 정규화(Normalization) 쉽게 이해하기
지난 포스팅에서 데이터베이스 정규화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했었다. 하지만 해당 내용이 쉽게 이해되지 않는 것 같아서 정규화 관련 글을 풀어서 다시 한번 정리해보고자 한다. 1. 정규화(Normaliz
mangkyu.tistory.com
sqld 공부를 요약하신 분이 있는데, 아래의 블로그에서 요약본을 다운로드하였습니다.
SQLD 시험 합격 후기 및 SQLD 요점 정리 파일 공유
SQLD 자격증 취득 후기 (SQL Developer) 예전에 쳤던 데이터베이스 자격증 시험인 SQLD 시험 후기를 작성해보겠습니다. SQLD 를 취득했을 당시가 군 복무를 하던 때였는데 사실 군 복무를 할 때만 해도
present4n6.tistory.com
2 단원의 경우, 서브쿼리와 join이 포함된 쿼리에는 익숙해서 집계함수와 자주 나오는 윈도우 함수와 결과의 차이 등을 아는 데에 집중했습니다.
모르는 함수나 쿼리가 있으면 검색하기 전에, 먼저 sql developer로 부분 부분 쪼개서 쿼리를 실행해 봤습니다.
그리고 결과를 보고 어떤 기능을 하는지 추론해 봤는데, 이렇게 하니 해당 함수나 문법에 대해 이해하는 데에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3일째 되는 날, sqld에 단답 서술형이 있다는 걸 알았습니다.(...!!!)
서술형 문제는 아래의 블로그들을 참조했습니다.
https://yunamom.tistory.com/355#answer32
[SQLD] 45 ~ 49회 기출문제 주관식 모음 ( 총 32문제/정답 )
📖 SQLD 45 ~ 49회 기출문제 단답형 모음 문제 1. 45회 단답형 1 (1과목). 업무에서 필요로 하는 인스턴스로 관리하고자 하는 의미상 더 이상 분리 되지 않는 최소의 데이터 단위는? (노랭이 1과목 14번
yunamom.tistory.com
https://dev-astra.tistory.com/362
[SQLD 시험 대비] 시험장 가기 전에 꼭 봐야 할 주관식 문제 모음
시험장 가기 전에 꼭 봐야 할 주관식 문제 모음 들어가며 시험에 나올 수 있는 주관식 문제들을 정리해본다. 자료 출처 : 노랭이 문제집, SQLD 시험 대비 문제집 등 문제 1 Q. 모델링의 특징 3가지를
dev-astra.tistory.com
모든 유형이 나오는 것은 아니지만, 꼭 알아야 할 문제들만 있어서 도움이 되었습니다.
추가로 3일째 되는 날까지 노랭이를 총 3 회독하였습니다.
(토, 일 주말이 껴 있어서 시간적 여유가 있었습니다.)
남은 기간은 교재 이외에 풀려 있는 실전 문제들을 찾아서 풀었습니다.
참고한 곳은 네이버 sqld 카페와 아래의 블로그입니다.
https://starrykss.tistory.com/1987
[SQLD] SQL개발자 단원별 내용 정리 & 실전 문제
SQL개발자(SQLD) 단원별 내용 정리 & 실전 문제 SQL개발자(SQLD) 자격증을 준비하면서 블로그에 올렸었던 글들을 한 페이지에 정리해본다. 개념 정리 인터넷 블로그, 교재 등을 보면서 정리했던 내용
starrykss.tistory.com
결과적으로 공부시간은 아래와 같습니다.
- 주말: 7~8시간
- 평일: 2시간
- => 25~26시간
만약 시간이 되신다면 아래의 유튜브 강의를 들어보시는 것도 추천드립니다.
https://www.youtube.com/channel/UCoc7x15NFZ97UbwfdmMZxlw
SQL전문가 정미나
안녕하세요, SQL전문가 정미나입니다. 이 채널의 궁극적인 목표는 전공자 포함 Database에 관심이 있는 초보자분들께 조금이나마 도움을 드리는 것입니다. 지금은 어떨지 모르겠지만 제가 학부생
www.youtube.com
https://www.youtube.com/channel/UCosmeBx3OuKP1YwGmT6ar2Q
김강민SQLP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출신 SQL 전문가 (SQLP) 쏭즈캠퍼스(http://songscampus.co.kr) 김강민 강사 강의문의 : snumae12@naver.com
www.youtube.com
https://www.youtube.com/channel/UCa-EVMr9Gd3W4POilGJ84Zw
전광철 OCP
SQL자격검정 실전문제 풀이는 물론 SQL 학습과 관련한 채널입니다. 특히, SQLD,SQLP 자격을 위한 시험 준비를 위해 "SQL 자격검정 실전문제 - 한국 데이터진흥원"를 교재로 채택했습니다. 🔔 1과목(플
www.youtube.com
시험 전략
딱히 전략이라 할 것도 없긴 한데, 시험을 볼 때 아래의 내용을 꼭 지키려 했습니다.
- 문제 하나에 1분 이상 투자하지 않기
- 쿼리 긴 거는 재끼기
- 마킹 실수하지 않기 (이건 어디까지나 저 한정...)
1번과 2번이 비슷한데, 처음 문제를 볼 때에는 보이는 문제부터 빠르게 풀어버렸습니다.
만약 1분이 다 되어가는데 풀 각이 안 나오면, 확실한 보기는 지우고 문제로 넘어가고, 쿼리가 길면 보지도 않고 과감히 재꼈습니다.
그렇게 한 번 걸러내면 어느 정도 문제를 풀었기 때문에 심적으로도, 실제 시간적으로도 여유가 있기 때문에 보다 집중해서 문제를 풀 수 있었습니다.
보수교육
만약 합격하셨다면, SQLD를 합격한 다음 1년 6개월 이후부터 2년 이내에 보수교육을 받으면 자격증 영구 갱신이 가능하니 꼭 받으시길 바랍니다.
긴 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